본문 바로가기

연구원뉴스

FITI시험연구원, 그린플라스틱연합과 ‘그린패키징 글로벌포럼 2025’ 공동 개최

작성일 : 2025-04-24

조회수 : 21

FITI시험연구원, 그린플라스틱연합과 ‘그린패키징 글로벌포럼 2025’ 공동 개최


- 탄소중립, 자원순환 기반 포장산업 정책 및 시장, 기술 정보 공유

- 전문가 강연 외 비즈니스 파트너링 상담회도 진행


[사진] 윤주경 FITI시험연구원장이 '탄소중립 & 자원순환, 그린패키징 글로벌포럼 2025'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jpg

▲윤주경 FITI시험연구원장이 '탄소중립 & 자원순환, 그린패키징 글로벌포럼 2025'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FITI시험연구원(원장 윤주경, FITI)은 그린플라스틱연합과 함께 22일부터 23일까지 양일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탄소중립 & 자원순환, 그린패키징 글로벌포럼 2025(Carbon Neutrality & Circulation Economy, Green Packaging Global Forum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국내외 탄소중립 및 자원순환 기반의 포장산업 관련 정책, 시장,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소재 전환과 재활용 확대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다양한 산학연 관계자가 참석했다.


패키징의 환경 영향을 최소화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는 ‘2025 ESG 지속가능 패키징 페어’와 연계해 동시 개최함으로써 산업 전반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했다.


첫날 행사는 김지훈 그린플라스틱연합 의장과 윤주경 FITI 원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친환경 바이오소재 관련 핵심전략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국내·외 전문가의 강연이 진행됐다.


오전에는 Zhiwu (Drew) Wang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교수가 ‘탄소중립과 환경 보호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바이오플라스틱 전환 전략’, 황정준 그린플라스틱연합 총장이 ‘탄소중립 자원순환을 통한 사회적 탄소저장과 온실가스 감축’을 발표했다. 


오후에는 임지열 고양시정연구원 센터장이 ‘도시의 탄소중립을 위한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필요성’, 임현진 대상T&C 대표가 ‘액상중합 기술을 통한 물리적 재활용 PET의 품질 향상’, 김동진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이사장이 ‘한국의 포장재 EPR 현황과 성과’, 윤찬석 에버켐텍 연구소장이 ‘천연물 기반 식품포장재용 산소차단 코팅 소재의 개발 현황 및 미래 가능성’, Mariagiovanna Vetere 네이처웍스 부사장이 ‘Ingeo 바이오폴리머를 통한 탄소순환 혁신’, Esra Kucukpinar-Niarchos 프라운호퍼연구소 박사가 ‘지속가능한 패키징 순환 설계 솔루션’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둘째 날 오전에는 이소라 한국환경연구원 실장이 ‘순환경제와 기후위기 대응: 재생 플라스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전략’, 김한석 SK케미칼 연구소장이 ‘PET 재활용 기술 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특히, 구현진 FITI 지속가능인증본부장이 연사로 나서 ‘미세플라스틱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한 국제 표준화 동향’을 주제로 국제 사회가 주목하는 환경 규제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발표를 진행했다.


오후는 최경영 한국저영향개발협회장이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건설용 자재의 개발’, 윤기철 CJ제일제당 센터장이 ‘해양 생분해 소재 PHA의 용도 개발 및 상용화 사례’, 김남일 대주KC 소장이 ‘다층공압출 동시이축연신 필름 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필름 개발’, 서동은 리플라 대표가 ‘미생물을 이용한 PP재질 고순도화, 고품질화 물성 향상 및 첨가제 성분 선택적 분해’, 박용대 동성케미컬 부장이 ‘바이오기반 소재의 용도 개발 및 시장 전망’, 임유나 에코디언 대표가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순환 관련 국내외 인증 및 GPA 인증 안내’에 대한 강연으로 채워졌다.


또한 양일간 비즈니스 파트너링 프로그램으로 상담회 및 전시도 운영했다. 리사이클 및 친환경 바이오 소재 전주기 사업화를 위한 기술 컨설팅, 신기술 사례 공유, 기술개발 수요 파악 및 협력 네트워킹 등으로 구성해 산업계의 현장 애로 해결을 지원하고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했다.


윤주경 FITI 원장은 “앞으로 그린패키징 글로벌포럼은 포장산업의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이번 포럼이 산학연 교류를 활성화하고 우리 기업들이 리사이클 및 친환경 바이오 소재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됐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