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비화 생분해·생붕괴도 시험

퇴비화 생분해·생붕괴도 시험이란?

플라스틱 및 기타 소재의 생분해 특성과 붕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재생 가능한 소재 개발에 기여합니다.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 및 복합 생분해도를 측정하며, 실험실 및 파일럿 규모의 모사 퇴비화 조건에서 재료의 붕괴도를 평가합니다.

시험항목

  • 퇴비화 생분해 시험

분류, 표준명으로 구성된 표.
분류 표준명
퇴비화 생분해도 시험 산업퇴비화 조건

KS M ISO 14855 – 1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의 측정, 방출된 이산화탄소의 분석에 의한 방법

홈퇴비화 조건

AS 5810

Biodegradable plastics suitable for home composting

복합 생분해도 시험 가수분해 후 퇴비화 생분해도

ISO 21701

Textiles - Test method for accelerated hydrolysis of textile materials and biodegradation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of the resulting hydrolysate

산화 생분해도

ASTM D6954

Standard Guide for Exposing and Testing Plastics that Degrade in the Environment by a Combination of Oxidation and Biodegradation

구분, 전처리방법, 시험기간, 필요샘플양, 시험온도, 평가방법으로 구성된 표.
구분 전처리방법 시험기간 필요샘플양 시험온도 평가방법
일반 퇴비화 생분해 분쇄 45~180일 약 200g 이상 58 ℃ 이산화탄소 발생량
복합 생분해 가수 분해 후 분쇄 전처리(분자량 감소 시점까지 가수분해 또는 산화 분해) 후 45~180일
광산화 분해 후 분쇄
  • 퇴비화 생붕괴도 시험

분류, 표준명으로 구성된 표.
분류 표준명
랩스케일 생붕괴도 시험

KS T ISO 20200

플라스틱 - 시험실 규모의 모사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붕괴도 측정

파일럿 스케일 생붕괴도 시험

KS M ISO 16929

플라스틱 - 파일럿 규모 시험에 의한 규정된 퇴비화 조건에서의 플라스틱 붕괴도 측정

구분, 시험기간, 필요샘플양, 평가방법으로 구성된 표.
구분 시험기간 필요샘플양 평가방법
랩스케일 생붕괴도 시험 4~12주 약 5g 이상 중량 감소율, 육안평가
파일럿 스케일 생붕괴 약 1 kg 이상
샘플 두께에 따라 절단 아이콘
샘플 두께에 따라 절단
우측 화살표
생붕괴도 시험 진행 아이콘
생붕괴도 시험 진행
우측 화살표
생붕괴도 도출 아이콘
생붕괴도 도출

절차안내

  • 01

    시험 상담/신청서 제출 (필요 시 현장 방문)

  • 02

    시험 접수/수수료 납부

  • 03

    시험 진행

  • 04

    성적서 발급

  • 05

    결과 상담

담당자안내

부서, 직책,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 메일로 구성된 표
부서 직책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 메일
화학제품팀 선임연구원 이석언 생분해 분야 사업·시험 043-711-8822 dltjrdjs@fiti.re.kr
화학제품팀 선임연구원 김진수 생분해 분야 사업·시험 043-715-7434 kiwi@fiti.re.kr
화학제품팀 전임연구원 김수경 생분해 분야 시험 043-711-8727 hei2014@fiti.re.kr
화학제품팀 선임연구원 황지혜 접수/발급 043-711-8962 jhhwang@fiti.re.kr
화학제품팀 주임연구원 정선빈 접수/상담 043-711-8963 sbjung@fiti.re.kr
화학제품팀 전임연구원 배경미 접수/상담 043-711-8862 kmb@fi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