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계 생분해 시험
수계 생분해 시험이란?
하천 및 하수처리 환경에서 플라스틱 및 기타 소재의 생분해도와 생분괴도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하수처리 및 해양 모사 조건에서 물질의 분해 능력을 측정하여, 하천 및 해양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고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시험항목
하수 모사 생분해도 시험
분류 | 표준명 | |
---|---|---|
하수 모사 생분해도 시험 |
KS I ISO 7827 수질 - 액상배지에서 유기물의 최종 호기성 생분해도 평가 방법 - 용존 유기탄소 분석법 KS I ISO 9408 수질-밀폐형 호흡측정계의 산소 요구량 측정에 의한 액상 매질에서의 유기 화합물의 호기성 최종 생분해도 평가 KS I ISO 9439 수질 - 액상배지에서 유기화합물의 호기성 최종 생분해도 평가 - 이산화탄소 발생 시험법 KS M ISO 14851 수용액상 배지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최종 호기성 생분해도 측정 - 폐쇄 호흡계에 의한 산소 소비량 측정 KS M ISO 14852 수액상 배지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최종 호기성 생분해도 측정 - 발생 이산화탄소 정량분석법 KS I ISO 9408 수질 - 밀폐형 호흡측정계의 산소요구량 측정에 의한 액상 매질에서의 유기화합물의 호기성 최종 생분해도 평가 OECD 301 A, DOC Die-Away Test OECD 301 B, CO2 Evolution Test(Modified Sturm Test) OECD 301 C, Modified MITI Test(Ⅰ) OECD 301 F, Manometric Respirometry Test |
- 대상제품


- 세정제
- 세탁용 세제
- 주방용 세제
- 섬유유연제
- 제설제
- 윤활유
분류 | 표준명 | |
---|---|---|
해양 모사 생분해도 시험 |
ASTM D669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erobic Biodegradation of Plastic Materi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by a Defined Microbial Consortium or Natural Sea Water Inoculum ASTM D7991-22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erobic Biodegradation of Plastics Buried in Sandy Marine Sediment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ISO 23977 : Plastics - Determination of the aerobic biodegradation of plastic materials exposed to seawater Part 1: Method by analysis of evolved carbon dioxide Part 2: Method by measuring the oxygen demand in closed respirometer ISO 19679 : Plastics - Determination of aerobic biodegradation of non-floating plastic materials in a seawater/ sediment interface - Method by analysis of evolved carbon dioxide ISO 18830 : Plastics - Determination of aerobic biodegradation of non-floating plastic materials in a seawater/ sandy sediment interface - Method by measuring the oxygen demand in closed respirometer OECD 306: Biodegradability in Seawater ISO 23832 : Plastics - Test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degradation rate and disintegration degree of plastic materials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al matric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시료량 | 시험기간 | 평가방법 |
---|---|---|
100g 이상 | 각 표준에 따라 다름 | 이산화탄소 발생량, 산소소비량으로 생분해도를 측정 |
절차안내
-
01
시험 상담/신청서 제출 (필요 시 현장 방문)
-
02
시험 접수/수수료 납부
-
03
시험 진행
-
04
성적서 발급
-
05
결과 상담
담당자안내
부서 | 직책 | 성명 | 담당업무 | 전화번호 | 메일 |
---|---|---|---|---|---|
화학제품팀 | 선임연구원 | 이석언 | 생분해 분야 사업·시험 | 043-711-8822 | dltjrdjs@fiti.re.kr |
화학제품팀 | 선임연구원 | 김진수 | 생분해 분야 사업·시험 | 043-715-7434 | kiwi@fiti.re.kr |
화학제품팀 | 전임연구원 | 김수경 | 생분해 분야 시험 | 043-711-8727 | hei2014@fiti.re.kr |
화학제품팀 | 선임연구원 | 황지혜 | 접수/발급 | 043-711-8962 | jhhwang@fiti.re.kr |
화학제품팀 | 주임연구원 | 정선빈 | 접수/상담 | 043-711-8963 | sbjung@fiti.re.kr |
화학제품팀 | 전임연구원 | 배경미 | 접수/상담 | 043-711-8862 | kmb@fiti.re.kr |